SYSTEM
1
성추행·강제추행·아청법 전문변호사
강제추행죄는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폭행 또는 협박으로 추행하는 행위로서, 사회적 비난 가능성이 높은 범죄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술자리, 직장 내 상황, 대중교통 등 일상적인 맥락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신체접촉에 대한 법적 평가나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에 따라 결론이 크게 달라지기도 합니다.
또한 억울하게 피의자로 지목되는 경우도 빈번하여, 초기 수사 대응이 사건의 향방을 특히 많이 좌우하는 사건유형이기도 합니다.
성추행센터는 경찰 조사 단계에서부터 법률전문가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준비된 후 조사에 동행하며, 피해자 진술 분석, 객관적 증거 수집을 통해 혐의를 벗겨내는데 전력합니다.
만약 추행 사실을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사건의 경우에도, 피해자 피해회복과 용서를 본질로 하는 합의 및 재범예방노력을 통해 기소유예 불기소처분을 받아, 일상으로 원만히 복귀할 수 있도록 방비합니다.
기소된 사건의 경우에도, 명확한 사건진단을 통해 무죄변론 또는 집행유예·선고유예 등의 선처변론의 방향을 명확히 하고, 일관된 변론을 통해 최선의 성과를 내도록 주력합니다.
2
성추행·강제추행·아청법 주요업무분야
강제추행 / 공중밀집장소추행 / 준강제추행
업무상위력추행
아청법위반(강제추행 / 준강제추행)
성폭법위반(친족추행)
성적목적적중이용장소침입
위 사건들의 무고, 위증, 공갈, 협박, 명예훼손 등
위 사건들과 함께 입건된 기타 형사 사건 등
주요관련조항 :
형법 제245조 공연음란죄
형법 제298조 강제추행
형법 제299조 준강제추행
형법 제300조 미수범
형법 제302조 심신상실·항거불능 상태 간음·추행
형법 제303조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간음·추행
성폭력처벌법 제10조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
성폭력처벌법 제11조 공중밀집장소에서의 추행
성폭력처벌법 제12조 성적 목적의 다중이용장소 침입행위
성폭력처벌법 제13조 통신매체이용음란
아청법 제7조 아동·청소년 대상 강제추행
아청법 제8조 아동·청소년 대상 준강제추행
아청법 제10조 성매매행위 등
아청법 제11조 성매매 목적 유인·권유·강요
3